[보도자료] 뒤쳐진 제약산업 환경정책, 국제 규제변화에 맞춰 바뀌어야
- 국내 폐의약품 55.2% 쓰레기통·싱크대에 버려지는 현실... 생태계 위협
- 의약품 정책의제 세 번째로 환경정책 개선안 제시
- 의약품의 생산자책임확대제도(EPR) 도입, 폐의약품 수거체계 일원화,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등 3가지 정책제안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이하 건약)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맞춰 새로운 의약품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4개의 정책의제를 매일 1개씩 제시하고 있다. 수급불안정 대응정책, 약제비 문제에 이어 오늘은 의약품에 의한 환경피해를 막기 위한 정책마련을 제안한다.
국내 폐의약품 관리 체계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에 따르면, 불용의약품을 쓰레기통, 하수구, 변기에 버리는 비율이 55.2%에 달하고, 국민 대다수가 폐의약품 처리 방법을 모르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