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생각합니다

[성명]약국법인의 성격을 원안대로 비영리법인으로 통과시켜야 한다.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110-522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6-1 엘림빌딩 3층 Tel: 02-523-9752 Fax: 02-766-6025 http://pharmacist.or.kr e-mail kpkyp@chol.com


[성명]

약국법인의 성격을 원안대로 비영리 법인으로 통과시켜야 한다.



지난 6월 보건 복지위에서 보류 되었던 약국법인(안)이 9월 12일 소위에서 재논의 된다고 알려졌다.

이에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이하"건약")는 지난 6월 보건복지위 법안심사소위와 전체회의 논의 내용 중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판단되는 내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법인약국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 것이 국민에게 더 도움이 되느냐의 관점에서 법안심사 논의가 진행되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

[중앙위회의]9월 25일날 합니다.

일단 날짜만 확정되었습니다.
안건 등은 다음 중집에서 논의할 예정이고요.

지부장님들과는 통화 했는데, 중집들도 날짜 염두에 두시고 일정 맞춰 주세요.


9차 중앙위 회의

-일정: 2005년 9월 25일(일) 오전11시경
-장소: 건약 대경지부 사무실


9/5 'PPA 사건 이후 의약품 안전성 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110-522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6-1 엘림빌딩 3층 Tel: 02-523-9752 Fax: 02-766-6025 http://pharmacist.or.kr e-mail kpkyp@chol.com



[보도자료]

9월 5일(월)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
“PPA 사건 이후 의약품 안전성 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


2004년 PPA사건이 일어나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의약품 안전성 제도의 진전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의약품의 정책을 공급자 중심에서 사용자(소비자, 환자)중심으로 전환한다고 수차례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별로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8/23 중집회의 합니다.

9월 5일 공청회를 앞두고 여러 점검과 논의가 필요합니다.
그외 논의할 안건이 있으면 국장님들은 연락주시구요.

시간 장소 동일합니다.

[논평]라니티딘정 회수조치에 대한 건약 논평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110-522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6-1 엘림빌딩 3층 Tel: 02-523-9752 Fax: 02-766-6025 http://pharmacist.or.kr e-mail kpkyp@chol.com

[논평]

안정성이 부적합한 의약품에 대하여 생산,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를 즉각 실행해야 한다.



국민의 건강을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이 변색되는 ‘안정성 부적합 판정’을 받았는데도, 시중에 유통이 되고 보험급여를 받고 있다는 현실은 우리 나라 의약품 안전관리 행정의 후진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식약청은 “인습성이 강해 안정성 논란이 제기됐던 라니티닌 제제를 일제 수거, 검사한 결과 H제약회사 ‘라니티딘정’이 성상부적합 판정을 받아 경인식약청에 행정처분을 지시했다”고 18일 밝혔다.

[논평]마약류 식욕 억제제의 식약청 실태조사 실시 발표에 대해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110-522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6-1 엘림빌딩 3층 Tel: 02-523-9752 Fax: 02-766-6025 http://pharmacist.or.kr e-mail kpkyp@chol.com



[논 평]
: 마약류 식욕 억제제의 식약청 실태조사 실시 발표에 대한 논평


복약지도서 의무화 등의 실질적인 관리방안 마련을 촉구한다


지난 8월 1일 식약청은 마약류 식욕억제제의 오남용 실태조사를 통한 사후관리를 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제약회사, 도매업소에서의 판매실적과 병의원, 약국에서의 실제 판매실적을 비교하여 관리하고 의무이행을 제대로 하지 않은 업소나 의료기관은 의법 조치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성명]서울대병원이 국립병원이라면 '산재지정병원' 요구부터 수용해야 한다.


서울대병원이 국립병원이라면 먼저 '산재지정병원' 요구부터 수용해야 한다

국립서울대학교병원은 지금껏 산재지정병원이었던 적이 없다. 더욱이 서울대병원은 서울대병원 노동조합과 여러 시민사회단체들의 거듭되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합리적 근거도 없이 산재지정병원이 되기를 거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해 산업재해로 3천명의 노동자들이 사망하고 9만 여명의 노동자들이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국립병원을 자처하고 있는 서울대병원이 1500만 노동자들의 산재 직업병에 대해 '진료거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올해 복지부 의료서비스평가 1위 병원이라며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병원은 최근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문제나 서울대병원설치법 폐지를 둘러싼 논의과정에서 지금까지 공공적인 역할을 충분히 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산재환자에 대한 진료를 거부하는 서울대병원의 '의료서비스 1위'와 '공공성'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번달 회비출금일은 28일입니다. 잔액을 확인해주세요.

cms로 회비 납부 하시는 회원님들!
이번달 회비 출금일은 28일입니다. 최근 잔액이 부족해서 회비가 인출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통장 잔액을 꼭 확인해주세요.

이번달초 인출된 회비는 6월 회비입니다.(월말에 인출하지 못할 사정이 생겨서..)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보도자료]PPA 1년-의약품안전성 감시체계의 허술함으로 국민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110-522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6-1 엘림빌딩 3층 Tel: 02-523-9752 Fax: 02-766-6025 http://pharmacist.or.kr e-mail kpkyp@chol.com

[보 도 자 료]

1. 국민 건강을 위한 언론 보도에 힘쓰시는 귀사의 발전을 바랍니다.

2.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이하 건약)는 과거부터 의약품 안전성에 관심을 갖고 과제의 발굴 및 대안 마련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3. 금년도 7월말은 PPA사건이 발생한지 1년이 되는 기간입니다.
사회를 불안에 떨게 하였으며 의약품 안전성에 대하여 많은 질책과 해결책이 쏟아져 나왔음에도 PPA 사건이 발생한지 1년이 지난 현재도 여전히 우리나라의 안전성 체계는 허술하고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페이지